아이들 항생제 처방할 때 꼭 따라오는 유산균…도움될까?
아이들 항생제 처방 시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이 다같이 처방되는 때가 많습니다. 유산균은 어린이 가정에서 크게 소비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대한민국건강기능식품협회의 조사의 말을 빌리면 프로바이오틱스 경매 건수는 약 2953만건으로 종합비타민을 앞서고 있습니다. 80세 이하와 20~20대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자본 비중이 각각 23.5%와 22.8%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병원에서는 세균 감염이 의심될 때 항생제와 함께 유산균을 정장제로 처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위더스락 리포좀 하루 철분 항생제는 장내 미생물을 가리지 않고 공격해 벨런스를 깨트리고 설사를 유발하므로 유산균을 투입해 이를 안정시키려는 목적입니다.
항생제 관련 설사는 복용자 40명 중 1명 정도에서 발견되며, 변이 약간 묽어지거나 하루 2~5회 설사하는 정도라면 별도 치료 없이 수분 섭취만으로 충분합니다. 저런 증상은 항생제를 끊으면 회복되지만, 하루 4회 이상 설사하거나 탈수·구토 등이 동반되면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어떤 종류의 유산균을, 얼마나 먹었을 때 효능이 최대로 나은지는 아직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의학적인 목적으로 약처럼 사용되는 것이 도움이 되는지 역시 불명확합니다. 전문가들은 바이러스 질병에는 항생제가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쓸모 없는 이용을 낮춰야 끝낸다고 조언합니다.